논문제목1 생산역량의 전략적 선택에 대한 상황적 접근모형
논문제목2 Contingency Approach Model on the Strategic Choice of Manufacturing Capabilities
주저자/소속 강성욱/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신저자 김규배/대전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5) 발행년월 2013년 10월
시작/끝 페이지 113/132 총페이지 20
언어 한국어
초록1 생산역량의 구성은 생산전략연구에 있어서 많은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생산역량들을 어떻게 조합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 상충적 접근법과 누증적 접근법의 두가지 접근법이 대립하고, 기존 연구들은 상이한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학문적 논쟁에 대해, 우리는 개별 기업들이 환경에 알맞은 접근법을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상황적 접근법의 관점에서 두가지 접근법을 통합하는 이론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모형은 현재 생산부문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공급사슬의 주요 이론인 거래비
용이론을 생산역량이론과 통합하여, 거래비용 변수, 생산역량 집중도, 그리고 기업성과의 관계
에 대해 분석한다. 독립변수로 자산특이성, 불확실성이 사용되고, 조절변수로 장기적 관계와 정보통신투자, 종속변수로 생산역량 집중도가 사용되었다. 다수의 문헌들과 이론들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주요 명제들을 제시하였다. 우선, 거래비용관련 변수들인 자산특이성과 불확실성은 생산역량 집중도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장기적 관계와 정보통신투자는 거래비용관련 변수들이 생산역량 집중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조절변수의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생산역량 집중도의 적합성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론적으로, 기
업 간의 이론인 거래비용을 고려함으로써, 기업 내부의 이론인 생산역량의 선택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고, 학계에서의 논쟁에 대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다. 실무적으로, 생산관리 담당자들의 임무가 외부의 환경을 고려하는 전략적 조정가라는 인식 하에, 생산역량의 조합과 선택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초록2 The composition of manufacturing capabilities has been one of the controversial issues in manufacturing strategies. Represented by Trade-offs vs Sand cone, researchers have examined an appropriate combination but remained inconclusive. In an effort to solve such a controversy, we propose the contingency approach integrating two research streams.
Building on manufacturing strategies and transaction cost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mong transaction variables, the degree of capability centralization and the firm performanc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asset specificity and uncertainty, while a dependent variable is the degree of capability centralization. Two moderators, long-term relationship and IT investment are introduced.
Our model is derived from previous literatures and theoretical arguments, presenting the following propositions. First, transaction variables influence the degree of capability centralization. Second, long-term relationship and IT investment moderate the above relationship. Lastly, the fit rather than actual degree is associated with the firm performance.
Our conclusion is that by considering transaction cost theory, manufacturing strategies can be more thoroughly explained, solving a long-lasting academic controversy. In addition, operations managers may understand their role as a strategic coordinator and be provided with the guideline on the choice of manufacturing capabilities.
키워드1 생산역량, 거래비용이론, 장기적 관계, 정보통신 투자, 적합성
키워드2 Manufacturing Capabilities, Transaction Cost Economics, Long-term Relationship, IT Investment, F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