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1 조직성과에 대한 개인-조직적합성과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논문제목2 An Effect of Person-Organization Fit and Self Esteem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주저자/소속 고종식/원광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4) 발행년월 2013년 8월
시작/끝 페이지 151/169 총페이지 19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개인-조직 적합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등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 과정에서 개인차 변수로서 자아존중감에 대한 조절 및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분석결과 유사적합이 보완적합에 비해 조직성과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있어 기업은 직무수행을 통해서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개인의 능력과 직무를 적합화 할 수 있는 직무분석과 직무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조절 및 상호작용 효과가 인정되고 있어 개인과 조직의 발전을 위해서는 조직적 특성과 더불어 개인적 특성도 고려되어야 하며 개인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조직 적합성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이와 관련된 정책입안 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여 기업의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초록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moderating variable of self esteem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person-organization fit to corporate employees. To ver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variable established as are followings; First, the independence variables are the similarity fit and the complement fit of employees. Second, the result variables ar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job satisfaction. Third, the modification variable is the self esteem of employe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is variables, sample subjects are 180' corporate workers who had worked in C-province.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were as followings; First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positive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al fit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pecially the effective of similarity fit variable is hight level. Second, it tested the positive interactive influence of self esteem to person-organizational fi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pecially the effective of similarity fit variable is hight level.
키워드1 개인-조직적합성, 조직성과, 자아존중감
키워드2 Person-Organizational Fit,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lf E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