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8권 4호] The Impact of R&D Investment on a Firm’s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60
논문제목1 The Impact of R&D Investment on a Firm’s Value in Accordance with Firm Size, Market Competition, and Market Entry Barrier in Listed Companies on the Korean Stock Markets
논문제목2 기업규모, 시장경쟁, 그리고 시장진입장벽에 따라 연구개발투자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주저자/소속 권기정/국립한밭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4) 발행년월 2013년 8월

시작/끝 페이지 281/311 총페이지 31

언어 영어

초록1 This paper examines how R&D investment which proxies for technology innovation influences a firm’s value in accordance with a firm’s size and market structure on the basis of Schumpeterian hypothesis in listed companies on the Korean stock markets over the period from 2001 to 2011. For more precise investigations, this paper divides total samples into several subgroups according to a firm’s size and market structure.
Empirical results reveal that R&D investment has nonlinear relationship with a firm’s value in accordance with a firm’s size, and market structure. The result reveals R&D investment is nonlinearly related to market value of equity with the S and U-shape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assets which proxies for a firm’s size. The results also offers that inverted U-shape relationship exist between R&D and a firm’s value with according to the size of sales. Moreover the empirical results also presents that R&D has inverted U-shape nonlinear relationship with market value of equity in according to the size of R&D intensity which substitute for market entry barrier. These results are partially not the same with Schumpeter(1942) and follow up researches which show inverted U-shape between
R&D investment and a firm’s size and market structure. From these empirical results, this paper concludes that R&D plays an important role in valuing a firm’s value; however the value relevance function is not linear but nonlinear shape in the Korean stock markets. The result of this paper indicates that new valuation model is necessary for reflecting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innovation and a firm’s value.
초록2 장벽에 따라 기술혁신의 대용변수인 연구개발투자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우리 나라 자본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2001년부터 2011년까지의 기간에 걸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표본기업을 기업규모, 시장경쟁정도와 시장진입장벽정도 등의 시장구조에 따라 하부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연구개발투자는 기업규모와 시장구조에 따라 비선형의 가치관련성을 나타냈
다. 먼저 기업규모에 따라 연구개발투자의 가치관련성 형태를 검증한 결과, 연구개발투자는 기업가치와 S자 및 U자 형태의 가치관련성 형태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시장경쟁정도를 나타내는 매출액 규모에 따라 연구개발투자의 가치관련성 형태를 검증한 결과, 연구개발투자는 기업가치와 U자형태의 가치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시장진입장벽정도를 나타내는 연구개발집중도에 따른 연구개발투자의 가치관련성 형태를 검증한 결과, 연구개발투자는 기업가치와 역U자 형태의 가치관련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연구개발투자가 기업가치와 비선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점에서는 Schumpeter(1942)의 가설과 비슷하지만, 비선형적 관련성의 형태에 있어서는 Schumpeter(1942) 및 그의 주장을 지지하는 후속 연구들과 일부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연구개발투자가 기업가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그러한 영향
의 형태는 선형이 아니라 비선형적인 형태를 가진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
선형적인 관계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평가모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키워드1 R&D Investment, Value Relevance, Nonlinear Value Relevance, A Firm’s
Size, Market structure, Market competition, Market entry barrier.
키워드2 연구개발투자, 가치관련성, 비선형가치관련성, 기업규모, 시장경쟁, 시장진입장벽
 첨부파일
12-13-094.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