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1 Does Religiosity affect on Consumer’s Socialization Agent and Shopping Orientation?
논문제목2 종교적 성향이 제품에 대한 정보수집원 활용과 쇼핑성향에 미치는 영향
제1저자/소속 신종국/부산대학교, 교신저자/소속 박민숙/부산가톨릭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3) 발행년월 2013년 6월
시작/끝 페이지 69/83 총페이지 15
언어 영어
초록1 This study builds on previous research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ligiosity on socialization agents and shopping orientation. Responses from 205 customers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religiosity, socialization, and shopping orientation. The main arguments are told by the following hypotheses. High religious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use socialization agents as product information than the low and non-religious consumers. They are more likely to use significant others as a product information source than the low religious consumers. Consumers who are high religiously committed with Buddhism will manifest a greater tendency toward the ‘utilitarian’ approach to shopping than will the devout Catholics and devout Protestants. Likewise, consumers who are highly religiously committed with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will manifest a greater tendency toward ‘social/hedonic’ approach and ‘overpowered’ approach respectively than the other religion believers.
초록2 본 연구는 기존문헌고찰을 통해 종교가 사회화 대리인과 쇼핑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종교에 대한 신앙심이 낮거나 종교가 없는 소비자에 비해 신앙심이 깊은 소비자가 제품의 정보원천으로 사회화 대리인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이 많이 활용하는 사회화 대리인으로는 가족, 친구, 동료, 같은 종교 집단, 미디어, 교육 등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종교적 신념이 강한 소비자들이 그렇지 않은 소비자에 비해 같은 종교 집단을 정보원천으로 활용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실한 종교생활을 하는 소비자를 중심으로 종교별 비교를 실시한 결과, 실용주의에 따라 소비하는 성향은 불교, 개신교, 가톨릭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충동적인 성향은 개신교, 가톨릭, 불교 순으로, 혼란성향은 개신교, 불교, 가톨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키워드1 Religiosity, Socialization Agent, Information Sources, Shopping Orientation
키워드2 종교, 사회화 대리인, 정보원천, 쇼핑성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