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1 기혼 여성의 직장-가정 갈등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친 영향
논문제목2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Working Women on Job Satisfaction
주저자/소속 권순원/숙명여자대학교, 공동저자/소속 이영지/숙명여자대학교, 교신저자/소속 김봄이/숙명여자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8(1) 발행년월 2013년 2월
시작/끝 페이지 299/329 총페이지 30
언어 한국어
초록1 지금까지 이루어진 직장-가정 갈등 연구는 주로 직장→가정 갈등(WFC)과 가정→직장 갈등(FWC) 중 한 방향만 고려한 단일 차원의 척도를 사용하여 직장-가정 갈등과 다양한 종속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여성가족패널자료 3차 자료(2010년)를 활용하여 기혼 여성 임금근로자 777명을 대상으로 직장→가정 갈등(WFC)과 가정→직장 갈등(FWC) 즉, 양방향의 갈등 요인을 분석했다.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직장↔가정 갈등(WFC+FWC)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영향 요인들의 영향력 정도는 어떠한지 나아가 이러한 갈등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가정차원 요인이 직장-가정 갈등 양 방향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WFC는 아내의 취업에 대한 남편의 지지,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가사분담 만족도 변수가, FWC는 아내의 취업에 대한 집안일 조력자,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육아분담 만족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차원 요인 중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은 WFC와 FWC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동안 많은 선행연구를 통해 근로시간이 직장-가정 갈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는 점이 여러 차례 확인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지금까지의 연구가 직장-가정 갈등(WFC) 만을 척도로 해 사용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WFC+FWC 양방향의 갈등을 척도로 구성했다는 점에서 근로시간과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이해 할 수 있다. 한편 본 연구결과에서 주목할 점은 휴가 및 휴직제도가 WFC?FWC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는 점이다. 셋째, 차별적 조직문화와 직장-가정 갈등과의 관계는 WFC와 FWC 양방향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직장-가정 갈등 인식의 정도는 해당 근로자들의 직무만족에 모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직장-가정 갈등에 대한 인식이 클수록 직무만족은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록2 Until now, research on work-family conflict(WFC) focused on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FC and various subordinate variables by using mainly one-dimensional scaling. Hence, this research analyzes the conflict cause of the work and family in bi-directional to supplement these limitations by using survey of women and family data. This research covered influential factors that increase the WFC, the leverage of these influential factors and the impact of WFC on job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firstly typed the factors of WFC into family-domain variables, work-domain variable and organization-domain variable. Then, I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bi-directional work and family conflict on job satisfaction by utiliz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alysis showed that first, WFC deceases when spousal support is high but it increases when conflict related to household labor division is high. Second, work-related hours have not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WFC and FWC. Third, gender discrimination organizational culture do not affect on both WFC and FWC. Fourth, the level of WFC and FWC recognition is related significantly to job satisfaction, i.e. job satisfaction lessening when WFC and FWC are increasingly recognized.
키워드1 직장→가정 갈등(WFC), 가정→직장 갈등(FWC), 직무만족
키워드2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conflict, job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