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1 지각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이 조직구성원의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상황의 조절효과
논문제목2 Effect of CSR on Employees' Affective Well-Being
주저자/소속 고민정/중앙대학교, 공동저자/소속 황금주/중앙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7(4) 발행년월 2012년 08월
시작/끝 페이지 55/85 총페이지 31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구성하는 윤리적, 자선적 및 관계적 책임 차원이 각각 조직구성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구성원들의 지각된 CSR활동과 CSR태도 및 정서적 웰빙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조직의 상황적 맥락을 고려하여 지각된 기업의 윤리적 가치와 구성원들의 CSR활동 참여수준이 그들의 CSR태도와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각된 윤리적 책임 활동은 구성원들의 CSR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CSR태도는 다시 그들의 정서적 웰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각된 윤리적 책임 활동은 구성원들의 정서적 웰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지각된 조직의 윤리적 가치와 구성원들의 CSR활동 참여수준이 높을 때, 구성원들의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윤리적 책임활동의 영향력은 더욱 강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초록2 This paper explored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employees' attitude towards CSR, and link between their attitude towards CSR and affective well-being in order to understand how ethical, discretional and relational dimension of CSR individually affects employees. Additionally, this study looked at both corporate ethical value and levels of employees' participation into CSR programs as moderating variables. We administerd a survey with employees, and analyzed the survey data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employees' perceived CSR positively affected their attitude towards CSR, and in turn the attitude statistically affected employees' affective well-being. This study shows that the ethical dimension of CSR directly affected employees' aff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research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키워드1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조직구성원, CSR태도, 정서적 웰빙, 기업의 윤리적 가치, CSR활동 참여
키워드2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 towards CSR, Affective well-being, Corporate ethical value, Employees' participation into CSR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