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게재논문 원문서비스

[제26권5호] 계속사업손익과 중단사업손익의 분리공시가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81
'
연구분야 사회과학 > 경영학
논문제목1 계속사업손익과 중단사업손익의 분리공시가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논문제목2 The Effects of Separate Notice of Profit and Loss of Continued and Abolished Business on Value Relevance
주저자/소속 마희영/상지대학교 경상대학 회계정보학과 전임강사
공동저자/소속 허광복/동덕여자대학교
학술지명 경영교육연구 발행기관명 한국경영교육학회
권(호) 26(5) 발행년월 2011년 10월
시작/끝 페이지 297/320 총페이지 24
언어 한국어
초록1 본 연구는 회계정보 중 중단사업손익에 의한 가치관련성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당초 회계기준의 제정 목적과 같이 계속사업손익과 일시적 성격을 갖고 있는 중단사업손익의 분리공시로 계속사업손익의 이익의 질이 증가하여 회계정보의 유용성이 제고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기준서 제11호 중단사업의 제정이후인 2007년부터 2009년 1분기까지 사업부 중단을 공시한 기업을 대상으로 중단사업 보고에 관한 실태와 가치관련성의 차이를 분석한다. 또한 회계정보 중 이익의 성격에 따라 가치관련성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중단사업손익의 성격에 따라 가치관련성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분석한다. 회계정보와 기업가치 관련성과의 관계는 올슨(Ohlson) 모형을 이용하고, 총 198개의 표본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전체 표본의 경우 중단사업손익은 가치관련성을 갖는 정보이지만 당기순이익에 비해 월등히 추가적인 가치관련성을 갖는지는 검증할 수 없었다. 이는 제도 시행 초기라는 점과 중단사업의 이익과 손실이 혼재되어 있는 점 등이 원인이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중단사업이익과 손실을 분리한 경우에는 가치관련성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회계원칙 제정 목적에 부합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중단사업의 사유 및 중단사업손익의 크기에 따라 가치관련성의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단사업손익의 분리공시 이후 최초로 중단사업 보고에 관한 실태와 중단사업손익에 의한 가치관련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업부 매각이나 분리 신설이 구조조정의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기업이나 규제기관 등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초록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value relevance by profit and loss of abolished business out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to analyze whether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may be enhanced by increasing quality of profit and loss of continued business through separate notice of profit and loss of continued business and abolished business with temporary property,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ccounting standards. We understood the status of reporting abolished business on operations noticing abolishment of business between 2007 since the abolished business of K-GAAP No.11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first quarter of 2009, and analyzed whether differences in value relevance are shown on the basis of characteristics of profit and loss of abolished business, as in differences in value relevance based on profit characteristics among accounting information. The relation between accounting information and operation value relevance was used of the Ohlson model (1995) and tested by a total 198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as for the whole samples, notice of profit and loss of abolished business was information with value relevance, but it could not be examined whether it had remarkably additional value relevance when compared to net profit during the term, a phenomenon maybe caused by the beginning of the institution and the mixture of profit and loss of abolished business. However, separation of profit and loss of abolished business showed differences in value relevance, a separation that can be interpreted to correspond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ccounting principles.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value relevance based on reasons of abolished business and scale of profit and loss of abolished busin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analyzed reporting of abolished business for the first time after separate notice of profit and loss of abolished business and analyzed differences in value relevance by profit and loss of abolished business. The data of the analysis may serve as useful information in realizing corporate restructuring led by the government in Korea in order to overcome economic recession, given that sale of business or separate creation of business is a mean of corporate restructuring.
키워드1 계속사업손익, 중단사업손익, 가치관련성, 올슨(Ohlson)모형
키워드2 Continued Business, Abolished Business, Value Relevance, Ohlson Model
'
 첨부파일
11-112(final).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