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분야 |
사회과학 > 경영학 |
|
| 논문제목1 |
멘토링 기능이 대학생 만족몰입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공정성지각을 중심으로 |
|
| 논문제목2 |
An Effect of Mentoring Functions on the Undergraduate Involvement and Adaptation: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and Fairness |
|
| 주저자/소속 |
장형유/경상대학교
|
공동저자/소속 |
노미진/경북대학교
|
|
| 학술지명 |
경영교육연구 |
발행기관명 |
한국경영교육학회 |
|
| 권(호) |
26(4) |
발행년월 |
2011년 08월 |
|
| 시작/끝 페이지 |
23/52 |
총페이지 |
30 |
|
| 언어 |
한국어 |
|
| 초록1 |
본 연구는 멘토링의 다양한 기능들이 경영학부 대학생들의 만족 및 몰입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멘토링에 대한 신뢰성과 공정성 지각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생들에게 중요한 멘토링 기능을 경력기능, 역할모형기능, 심리사회기능, 맞춤인재육성으로 구분하고, 멘토링 결과 요인으로 대학생들의 만족몰입과 대학생활적응으로 압축하고 여타 주요 변수들과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멘토링 경험이 있는 경영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고 정제과정을 거쳐 최종 225부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경력기능, 역할모형기능, 심리사회기능은 대학생들의 멘토링에 대한 만족몰입 및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맞춤인재육성이 만족몰입에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대학생활적응에는 정(+)의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뢰와 공정성지각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경력과 신뢰와의 상호작용, 역할모형기능과 신뢰와의 상호작용은 만족몰입에 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고, 맞춤인재육성과 신뢰와의 상호작용은 만족몰입과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경력과 공정성지각과의 상호작용, 역할모형기능과 공정성지각과의 상호작용, 심리사회기능과 공정성지각과의 상호작용, 맞춤인재육성과 공정성지각과의 상호작용은 만족몰입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졌고, 역할모형기능과 공정성지각과의 상호작용은 대학생활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이 멘토링을 수행할 때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
| 초록2 |
This study analyzes whether various mentoring functions have an effect on the satisfied involvement(SI) and undergraduate adaptation(UA) on the campus, and reveals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mentoring functions and their results. Mentoring functions are comprised of four factors such as career function(CF), role model function(RMF), socio-psychological function(SPF), and customized human resource(CHR).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in th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225 questionnaires were us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CF, RMF, and SPF had an effect on the SI and UA. CHR didnt have an influence on the SI, bu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UA. Second, an interaction between CF and RMF and trust made an effect on the SI, and the interaction between CHR and trust had an effect on the UA. The CF*trust and RMF*trust had an effect on the SI, and CHR*trust had an influence on the SI and UA on the campus. CF*fairness perception, RMF*fairness perception, SPF*fairness, and CHR*fairness perception had an impact on the SI, and RMF*fairness perception had an effect on the UA on the campu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various guidelines for undergraduates who are interested in mentoring system. |
|
| 키워드1 |
멘토링 기능, 만족몰입, 대학생활적응, 신뢰, 공정성지각 |
|
| 키워드2 |
Mentoring Functions,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Undergraduates Adaptation on the campus , Trust, Fairness Perception |